반응형
출근하러 나오실 때 집에 난방 조절을 어떻게 하고 나오시나요? 따뜻한 온도로 계속 켜 두자니 고지서 보기가 두려우실 거예요. 하지만, 외출할 때 보일러를 꺼두지 않고 난방 조절만 잘해도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. 오늘 그 방법에 대해서 몇 가지 소개해드릴 테니 따라 하셔서 난방비 아껴보세요.
목차
1. 실내 적정 온도 맞추기
■ 적정 온도: 18℃ ~ 20℃
- 실내 온도가 1℃ 낮아질 때마다 에너지 소비량이 7%씩 절약됨.
- 20℃ 이상으로 맞추면 1℃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 15% 상승됨.
- 뜨겁게 올렸다가 덥다고 껐다 켰다 하면 오히려 가스 소비량이 큼.
- 내복이나 수면 양말 등 보온용 의류를 착용하면 체감 온도가 3℃ 정도 증가함.
- 15℃ 이하로 내리면 난방 효과 없고 동파 위험성이 있음.
2. 적정 온수 온도 설정
■ 적정 온도: 40℃ (목욕탕 온탕 온도)
-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 후 수압을 강하게 하면 뜨겁게 느껴짐.
- 이때 다시 냉수 방향으로 온도 조절하면 보일러가 2번 일하게 됨.
-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한 후 수압을 중간 정도로 맞추기.
- 55℃에서 40℃로 낮추면 월평균 8,000원 정도 절약 가능함.
-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려놓는 습관 들이기
3. 올바른 창문 단열 방법
■ 이중 단열: 뽁뽁이와 아스테이지로 단열
- 마스킹 테이프를 창문 샷시틀에 맞게 잘라서 4면 모두 붙여주기.
- 포장용 뽁뽁이를 창문에 맞게 자르기.(단열 뽁뽁이가 아니어도 됨.)
- 물과 물풀을 1:1로 섞어주고, 창문에 뿌려서 폭폭이 붙이기.
- 마스킹 테이프 위에 창틀 손상을 방지하게 위해서 벨크로 테이프를 붙여주기.
- 아스테이지를 창틀 크기에 맞게 자르고 위쪽 벨크로 붙여서 덮기.
4. 온도 일정하게 유지하기
■ 절약 기능: 외출 모드/예약 모드 활용
- 보일러를 아예 끄면 일정 온도까지 올리기 위해 에너지 많이 씀.
- 10시간 내로 귀가한다면, 외출 모드로 실내 온도 일정하게 유지함.
- 외출 모드로 설정했을 때 너무 춥다면 예약 모드 이용하기.
- 실내 온도를 20℃ 정도로 맞추고 4~ 6시간 예약 설정 추천
- 한파 주의보 발령 시 외출 모드 대신 15℃ ~ 17 ℃ 정도로 난방 설정함.
5. 적정 습도 유지하기
■ 적정 습도: 40~60%
- 가습기를 쓰면 난방 온도를 빠르게 올려줘서 집이 금방 훈훈해짐.
- 가습기가 없으면 젖은 수건을 방에 걸어 놓는 것도 추천함.
- 이때, 창문 근처에서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고 떨어뜨려 놓기.
- 창문 근처의 습도가 높아지면 온도차로 인한 결로 가능성 있음.
- 하루에 1~2번 환기를 시키고 이중창은 바깥쪽을 1cm 정도 열어두기.
6. 사용하지 않는 난방 밸브 조절
■ 적정 습도: 40~60%
- 안 쓰는 방의 밸브만 잠가놔도 겨울철 난방비 3분의 1 정도를 줄일 수 있음.
- 아예 다 잠그는 것이 아니고, 아주 조금만 열어놓는 것임.
- 베란다나 싱크대 밑에 있는 주차단 밸브도 반만 열어놔야 함.
- 난방을 하지 않는 방은 문을 닫아 놓고 열 손실을 방지함.
- 투룸 이상인 집은 난방 밸브만 잘 조절해도 확실한 난방비 절약 효과 있음.
7. 대체난방 제품 사용
■ 난방 제품: 일 8시간 사용 기준 전기 요금
- 전기장판 (2인용): 소비전력 200W / 1만 원 내외
- 전기히터 (선풍기형): 소비전력 800~1000W / 3만 원 중반
- 미니 전기온풍기: 소비전력 500~700W / 1만 원 중반
- 스탠드형 전기온풍기: 소비전력 1500W / 6만 원 중반
- 가정용 라디에이터: 소비전력 500~700W / 1만 원 중반
2022.12.08 - [정보] - 경기도 노천탕 펜션, 풀빌라 추천 3곳 소개
반응형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급여, 육아휴직과 중복 혜택 가능 (0) | 2022.12.14 |
---|---|
2023년 육아정책 및 제도 확인하기 (0) | 2022.12.13 |
2023년 최저임금과 연봉 실수령액 확인하기 (0) | 2022.12.12 |
해외 여행 준비물 체크리스트 및 필수 어플 추천 (0) | 2022.12.10 |
내년 만 나이 도입 시기와 달라지는 것들 (0) | 2022.12.09 |
댓글